경상북도,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신중도’ 유형문화재 지정
경상북도,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신중도’ 유형문화재 지정
  • 김용준 기자
  • 승인 2019.10.17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경상북도는 1011일 도문화재위원회(동산분과 제3차회의)를 개최하여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을 비롯한 8건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문경 김용사 양진암 영산회상도2건을 문화재자료로 지정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는 화면 중앙에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시립(侍立)한 아미타삼존설법상이다.

최상단 좌우에 각 5위씩 합장을 한 10위의 타방불이 연화대좌에 앉아 있다. 화면은 적, , 청색을 주로 사용하여 채색하였다. 화면 하단부의 화기(畵記)를 통해, 1780년이라는 조성연대와 함께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불화승들이 불화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 말조선 전기의 아미타삼존설법도 형식을 계승하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안동 애련암 신중도'는 가로로 긴 장방형의 화면에 존상들이 일렬로 늘어선 구도이다. 제석천과 범천을 중심으로 위태천을 왼쪽에 그려 넣었다. 전체적인 구도는 제석과 범천이 천자와 천녀의 위호(衛護)를 받으며 중앙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권속들이 제석과 범천을 뒤따르는 형상이다.

이 신중도는 기존의 정형화된 구도에서 벗어난 점이 돋보이며, 채색도 붉은색과 녹색, 청색, 황색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화면 하단부의 화기(畵記)를 통해, 1780년이라는 조성연대와 함께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불화승들이 불화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화면의 독특한 구성과 인물의 섬세한 표현, 조화로운 채색을 갖춘 우수한 작품이다.

아울러, 경상북도는 금번 도문화재위원회에서 최벽 관련 고문헌, 안동 용수사 소장 용산지,안동 용수사 소장 통진대사 양경 비편3건을 유형문화재 지정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정대상으로 선정된 3건의 문화유산은 도보 게시 등 지정예고 절차를 거쳐 차기 문화재위원회에서 지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