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 수몰지 복원 아카이브사업 추진
안동댐 수몰지 복원 아카이브사업 추진
  • 유경상 기자
  • 승인 2018.05.23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4개 마을 중 올해 10개 지역 먼저 답사
마을 기록지, 인지지도 등 성과 목표

1976년 준공된 안동댐은 지역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식수난이 해결되었고, 댐주변 지역 환경정비와 더불어 문화 관광, 레저 산업의 발달 등으로 안동호 일대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했으며, 물을 매개로 한 물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댐 건설의 효과 뒤로 자연환경의 변화, 수몰로 인한 실향민 발생 및 이주단지 건설, 일부 문화재와 가옥들의 이건, 많은 수몰마을 사람들의 흔적과 이야기가 묻혔다.

당시 안동시와 안동군 와룡면, 예안면, 도산면, 임동면 일대 54개 자연부락은 댐 건설을 앞두고 보존, 기록 작업이 제대로 선행되지 못했다. 댐이 준공된 지 4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일부 마을에 대한 단편적인 자료나 학술연구 차원의 보고서와 마을지가 발간된 것을 제외하면 수몰마을의 흔적과 수몰민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담아낸 자료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수몰마을 구성원 1세대들은 대부분 사망하거나 남아있는 이들도 고령화로 인하여 그들의 기억과 삶의 이야기들이 점차 사라져가는 이때, 지금이라도 수몰마을과 그곳에 살았던 이들을 대상으로 구술생애사를 채록하고 사진 등 기록자료들을 수집하는 일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에 안동시와 (사)경북기록문화연구원(이사장 유경상)은 안동댐 수몰지역 생활사 복원 아카이브 사업을 추진한다. 본 사업은 안동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54개의 마을과 2만여 주민들의 흩어진 자료와 이들에 대한 기록들을 생활사 아카이브로 복원하는 사업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달부터 54개 마을 중 1차 연도 사업에 선정된 마을과 제보자를 중심으로 선정마을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한 뒤, 마을인지지도 작성, 마을 조사보고서 및 기록지 발간, 인물의 구술생애사 기록, 발굴된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화 작업을 동시에 병행해 나갈 것”이라며 “관련자료 구축과 함께 수몰마을로 인한 실향민들의 아픔과 추억을 보듬어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수몰전 도곡재사에 있던 석주 이상룡 일가 관련 고서와 유물을 고려대학에 기증했던 당시 사진. 4.18학생기념탑 앞에서 허은여사(왼쪽에서 두번째)와 이항증(오른쪽에서 두번째)
▲ 와룡면(월곡면) 도곡에 있던 호계서원 앞에서 수몰전 대동국민학교 학생들과 담임선생
▲ 와룡면 가류리(가크리) 출신 박무국이 72~74년경 수몰전 고향마을을 찍은 사진. 사진제공 박수환

* 마을인지지도 : 마을민들의 생활범위 공간을 수집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지도에 시각적으로 나타낸 지도

* 마을조사보고서 : 수몰마을에 대한 역사, 인물, 생활공간, 자연경관 등에 대한 보고서

* 기록지 : ① 수몰마을 이야기, ② 제보자, 장소에 대한 이야기, ③ 특정 인물에 대한 구술 생애사 이야기를 담아낸 책

* 자료디지털 아카이브화 : 수집자료를 디지털 아카이브화 후 연구원 홈페이지에 공유하여 누구나 검색하고 활용하게 하는 서비스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